바람결에 흐르듯
영남 알프스 청도 문복산과 울주 고헌산.. 본문
■ 2018. 06. 15
■ 청도 문복산과 울주 고헌산
■ 대현3리 산내 영성병원》드린바위》문복산》헬기장》학대산》신월봉/낙동정맥 표지석》와항마을》와항재》고헌봉(서봉)》고헌산》
동봉(정맥삼거리/산불감시초소)》소나무봉(고운봉)->고헌사 입구
■ 산행거리 : 18.43km
■ 산행시간 : 6시간 10분
■ 문복산은 경주시 산내면과 청도군 운문면 경계에 자리한 해발 1,014m의 산이다. 세칭 영남알프스라고 불리는 경상남도와 북도에 걸쳐 해발 1.000m가 넘는 산이 9개가 되는데 그 중 하나인 문복산과 고헌산이다. 장거리 이동으로 산행이 힘들게 느껴지기에 된비알이 심하지않지만 높은 습도에 흐르는 땀을 주체할 수가 없었다. 드린바위를 우회하니 뒷편으로 오를 수 있었고, 문복산 정상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후 고헌산 들머리인 와항재로 향하였다. 운문령 방향 학대산을 거쳐 신월봉(낙동정맥 갈림길)에서 좌측 와항마을로 내려선다, 고헌봉을 오르며 더위에 힘들게 느껴졌지만 어렵지 않은 코스 난이도이다. 고헌봉 정상 이후 힘겨운 구간은 없었고, 고헌산 산불감시초소 봉우리, 소나무봉 정상에서 우측 우남마을로 내려서는 도중 날머리가 우남마을로 바뀌었다는 연락에 저수지 근처에서 고헌사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고헌산 개념도

▼문복산 개념도

▼트레킹도

▼들머리/대현3리 산내 영성병원

▼들머리 입구

▼문복산과 드린바위가 보인다

▼좌우 모두 드린바위로 오르는 길이다. 우리는 좌측으로

▼등로에서 드린바위 좌측에서 바라본 모습.. 로프가 있는 걸 봐서는 드린바위 정상으로 오른 듯, 우측으로 우회등로가 있다



▼드린바위 정상

▼문복산을 배경으로




▼고헌산과 진행능선


▼내려다 본 드린바위


▼드린바위, 고헌산 방향, 진행능선

▼문복산



▼정상이정목/운문령 방향으로 진행

▼정상에서 살짝 좌측으로 직진

▼헬기장

▼문복산과 진행 능선을 돌아보았다.

▼소호리와 백운산(892.7m) 방향.. 와항마을, 백운산, 고헌산

▼진행능선과 고헌산

▼학대산.. 좌측으로 살짝 내려서는 듯 우회길로


▼신원봉/낙동정맥 분기점


▼신월봉에서 운문령이 아닌 낙동정맥, 와항마을로 진행하였다

▼문복산 방향(좌)



▼ 영남알프스 포토존 , 뒤는 고헌산이다



▼와항재 가는 길.. 고헌산(우)은 좌측 능선으로 오른다. 들머리인 와항재가 좌측에 위치

▼휴게소 우측으로 돌아 아스팔트 길을 따라 올라가면 와항재이다.

▼와항재/고헌산 들머리

▼고헌봉 오름길에 돌아보고

▼고헌봉



▼고헌봉 서봉

▼고헌산 방향

▼고헌산 오름길

▼돌아본 고헌봉 서봉

▼고헌산





▼우남마을 하산길의 진행능선.. 능선 두번째 봉우리(소나무봉/고헌봉) 정상에서 우측으로 내려선다

▼우남마을

▼고헌산 정상에서 고헌사로 내려서지 않고 소호령으로 진행.. 산불감시초소(정맥갈림길/동봉)가 있는 능선

▼이곳에서

▼우측으로 내려선다


▼궁근정리 신기마을과 고헌사(중앙 하단), 우남마을은 우측 하단으로 살짝 보이는 마을

▼진행능선.. 능선 높은 봉우리(소나무봉)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면 우남마을(우측 마을)

▼고헌사(좌 하단) 도로 좌우로 우남마을(좌)과 신기마을(우)

▼능선 끝 소나무봉 정상에서 우측 우남마을(날머리)로 내려선다

▼고운산(소나무봉) 정상.. GPS상에는 고헌봉으로 표기되어 있다

▼정상에서 직진하면 상북면.. 우측으로 내려서면 우남마을(GPS상에 등로표기가 없다).. 하산길이 가파르다

▼우남마을 방향..

▼고헌사 진입도로에 도착.. 버스가 주차한 곳(흥덕사 앞 도로)으로 내려선다


▼흥덕사 앞 도로에서 산행 마무리하였다

'영남알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남알프스 신불산과 영축산.. (0) | 2020.03.17 |
---|---|
영남알프스 천황산, 재약산, 능동산.. (0) | 2020.02.10 |
영남알프스 신불산과 간월산 공룡능선.. (0) | 2019.04.29 |
영남알프스, 에베로릿지 & 쓰리랑릿지 (0) | 2014.10.20 |
영남알프스 태극종주 (0) | 201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