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무등산 (7)
바람결에 흐르듯

■ 2025. 02. 02■ 광주 무등산■ 원효분소》옛길》목교쉼터》서석대 인왕봉》입석대》장불재》삼거리》용추봉》중봉(왕복)》중머리재》백운암터》봉황대》토끼등》증심교》증심주차장■ 산행거리 : 15.04km■ 산행시간 : 5시간 42분■ 연휴 이전 대설로 국립공원 대부분은 연휴기간 내내 통제되다가주말이 되면서 부분적으로 통제가 풀리기 시작하였다. 오래간만에 지리산 바래봉을 가고 싶었는데..자리가 없다.. ㅠ단톡방에 올라온 무등산 선답자 사진을 보니 서석대 설경이 멋지다..무등산은 지난 1월 4일 다녀온 곳이지만 당시는 눈이 없었기에 아쉬웠는데..서석대 멋진 설경사진에 이끌려 다시금 무등산을 다시 찾게 되었다.들머리에는 벌써 눈이 보이지 않고, 등로는 질퍽거리고 있었으니 기대한 설경은..? 고도 800m 지점부터..

■ 2025. 01. 04■ 광주 무등산■ 원효분소》치마바위》서석대》인왕봉》입석대》장불재》규봉암/광석대》장불재》중머리재》서인봉》새인봉》운소봉》증심주차장■ 산행거리 : 15.7km■ 산행시간 : 5시간 29분■ 통일신라 때 무진악(武珍岳) 또는 무악(武岳)으로 표기하다가 고려 때 서석산(瑞石山)이란 별칭과 함께 무등산이라 불렸다. 이 밖에도 무당산·무덤산·무정산 등 여러 산명을 갖고 있다. 무등산은 중생대 화상암 산지로서 곳곳에 주상절리가 있는데 남한에서 가장 큰 규모로서 산지사면을 따라 설형(舌形)으로 발달하는 암설의 퇴적지형인 너덜지대(지공너덜)가 발달되어 있다. ■ 얼마전 무등산 선답자 설경 사진을 보고 가보고 싶다는 생각에 2년만의 겨울 산행..차창밖 무등산에 눈이 보이지 않는다.. ㅠ 그동안 따뜻..

■ 2023. 09. 23■ 광주 무등산■ 원효사주차장》목교안전쉼터》서석대》정상(인왕봉)》서석대》입석대》장불재》용추삼거리》중봉》중머리재》천제단》봉황대》 토끼등》증심교》증심사주차장■ 산행거리 : 13km■ 산행시간 : 5시간 12분■ 46년 전 친구와 함께 무등산을 처음 찾았을 때에는 입석대를 오를 수 없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어디에서 어디로 올랐는지 기억이 없지만 하산하면서 두 갈레 길에서 서로 의견이 달라 광주역에서 만나기로 하고 각자가 판단한 길로 내려섰다. 나는 큰 무리없이 광주역에 도착해서 기다리고 있는데 뒤늦게 친구가 오면서 길을 잘못 들었다면 케이블카를 타고 지산유원지로 내려섰다는 것이었다. 이후 35년만에 다시 찾게 되었고, 당시 오르지 못한 입석대 서석대 를 오를 수 있게 되었고,..

■ 2023. 01. 07■ 무등산(산림청, 블랙야크, 한국의산하, 월간 산 100대 명산)■ 원효사》치마바위》얼음골 갈림길》서석대》입석대》장불재》용추삼거리》중머리재》서인봉》새인봉》주차장■ 산행거리 : 11.3km■ 산행시간 : 3시간 53분■ 광주 시민의 휴식처인 무등산은 최고봉 천왕봉 가까이 기암괴석 경치가 뛰어난 원기둥 모양의 주상절리(節理)와 도립공원으로 지정(1972년)된 점이 고려되어 산림청 100대 명산으로 선정되었고, 보물 제131호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 등이 있는 증심사와 원효사가 유명하다. 무등산에는 서석대, 입석대, 광석대, 신선대 4개의 주상절리대와 새인봉이 인상적이다. 특히 새인봉은 측면이 수직 절벽으로 이루어진 돔 형태의 봉우리(488m)로서 도곡유문암이라 불리는 화산암으로 구성..

■ 2019. 10. 26■ 무등산과 안양산■ 둔병재》안양산》백마능선》낙타봉》장불재》입석대》서석대》중봉》중계소》동화사터 삼거리》토끼등》증심교》증심사》주차장■ 산행거리 : 13.4km■ 산행시간 : 4시간 58분■ 무등산은 겨울산행지로 유명한 산으로 겨울산행 기억이 난다. 당시 안양산을 바라보며 언젠가 산행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있었던 참에 기회가 되었다. 가을인만큼 안양산 백마능선 억새를 기대하는 마음이었지만 억새는 실망스러웠다. 올해는 단풍도 억새도 예년만 못한 것인가..? 일찌기 져 버린 모습만 보았으니 때를 잘못 맞춘 것인가..? 하지만 무등산 가을 풍경은 나름 운치있게 다가왔다. 특히 낙타봉을 중심으로 능선에서 바라보는 가을 풍경은 좋았다. 늘 가까이서만 보아왔던 주상절리대 입석대와 서석대를 멀리서..

■ 2016. 12. 25■ 광주 무등산■ 원효사 집단시설지구》꼬막재》신선대 억새평전》북봉(누에봉)》지공너덜》석불암 갈림길》장불재》중머리재》서인봉》새인봉》 윤소봉》주차장■ 산행거리 : 15.13km■ 산행시간 : 5시간 40분■ 북한산 다음으로 많이 찾는다는 무등산, 광주 시민들이 많이 찾는 곳임을 알 수 있었고, 남쪽임에도 겨울 명산이기에 혹시나 설경을 기대한 천왕봉 상고대는 이번 산행코스가 아니고, 미답지 원효사 코스는 별 특징이 없을 것 같았고, 버스에서 검색한 북봉(누에봉)->무등산 코스의 규봉암 갈림길 위치가 명확하지 않아 포기하였으나 신선대 갈림길에서바라본 북봉 모습에 생각이 달라지는 것이었다. 규봉암, 장불재 구간은 조망이 없을 터인데 북봉에서 시원스럽게 무등산을 조망할 수 있을 것..

■ 2014. 01. 19■ 광주 무등산■ 증심사 입구 주차장》증심교》토끼등》봉황대》천제단》백운암터》중머리재》용추봉》중봉》서석대》입석대》장불재》석불암》규봉암/광석대》상상수목원》영통마을 입구■ 37년만에 찾은 무등산.. 당시 입석대와 서석대가 군사지역이었기에 입산불가.. 그리고 증심사와 지산유원지, 케이블카 정도 밖에 기억이 없고 모든 것이 낯설다. 용추봉에서 만난 여산우님이 광석대 규봉암이 멋지다는 이야기에 규봉암에 도착하니 정말 기대이상 멋졌고, 풍경을 즐기느라 너무 많은 시간을 체류하였다. 서둘러 이정표를 보고 길을 물으니 아는 산객이 없다. ㅠ 이정표는 꼬막재(3.5Km)와 상상수목원(1.9Km)이 표기되어 있엇고, 규봉암에서 장불재로 Back(1.9Km)하여 증심사로 가기에는 너무 멀다는 생각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