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결에 흐르듯
씨발노무새끼(始發奴 無色旗) 본문
옛날부터 중국 고사에서 전해지는 삼황오제의 이야기 중 복희씨는 주역의 만들었을 뿐 아니라, 길흉화복을 점치는 법을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이 이야기는 그 복희씨 시대의 이야기이다.
복희씨가 중국을 다스리고 있던 어느 날, 태백산 한 산마을이 돌림병으로 많은 사람이 죽어가고 있다는 전갈을 들은 복희씨는 그 마을로 향하게 되었고, 그 마을은 황하의 물이 시작되는 곳이라 하여 시발(始發)현(縣)이라 불리고 있었다. 마을에 도착한 복희씨는 돌림병을 잠재우기 위해 3일 낮 3일 밤을 기도 하니 성난 노인이 나타나 "나는 태백산의 자연신이다. 마을 사람들은 몇 년째 곡식을 거두고도 자연에게 제사지내지 않으니 이를 괘씸히 여겨 벌을 주는 것이다. 내 집집마다 피를 보기 전에는 돌아가지 않으리" 라고 하였다.
복희씨는 자연신이 화가 난 것을 위로하기 위해 방책을 세우고 마을 사람들을 불러 모아 말하였다. "자연신의 해를 피하기 위해선 집집마다 깃발에 동물의 피를 붉게 묻혀 걸어두어야 하오!" 그런데 마을사람 중에 시발(始發)현(縣)의 관노(官奴)가 있었으니 "귀신은 본디 깨끗함을 싫어하니 나는 피를 묻히지 않고 걸 것이다."하여 붉은 피를 묻히지 않은 깃발을 걸었다. 그날 밤 복희씨가 기도를 하는데, 자연신이 나타나 노여워하며 말하길 "이 마을사람들이 모두 정성을 보여 내 물러가려 하였거늘 한 놈이 날 놀리려 하니 몹시 불경스럽도다. 내 역병을 물리지 않으리라." 하였다.
그리하여 다음날부터 전염병이 더욱 돌아 마을 사람들이 더욱 고통스럽고 많은 이가 죽었으니, 이는 "시발현의 한 노비가 색깔 없는 깃발을 걸었기(始發奴 無色旗) 때문이었다. 이 이야기로 인해 그 이후 혼자 행동하여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사람이나, 제대로 알지못하면서 마구 행동하는 사람을 보면 "始發奴(시발로) 無色旗(무색기)" 라고 하게 되었다..
'야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쭈구리"(漁走九里/어주구리)... (0) | 2013.07.24 |
---|---|
'지랄하고 자빠졌네'/질할하구(膣割河溝) 잡어전래(雜魚全來) (0) | 2013.07.24 |
씨발놈아(施罰勞馬/시벌노마) (0) | 2013.07.22 |
ㅈ~ㅅ만한새끼(趙溫馬亂色氣/조온마난색기) (0) | 2013.02.03 |
ㅈ~ㅅ까지마(足家之馬/족가지마) (0) | 2013.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