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결에 흐르듯
북한산에 감춰진 김상궁의 은밀함.. 본문
■ 2018. 02. 18
■ 북한산
■ 도선사》용암문 공원지킴터》김상궁바위》입술바위》코끼리바위봉》족두리봉》백운산장 갈림길》하루재》영봉》합궁바위》우이동
■ 산행시간 : 5시간 30분
■ 설 명절 연휴 산행으로 어디 갈까 고민하는데.. 카페 횐님이 북한산 리딩을 부탁한다. 북한산은 분명 많이 다녔을 터이니 비탐코스를 생각하였지만 쉽지않은 코스라 고민스럽다. 난이도, 산행시간, 볼거리를 고려하니 문득 입술바위, 합궁바위가 생각난다.
더불어 족두리봉까지 둘러볼 수 있어 공지를 올리니 생각외로 참석자가 많다. 입술바위, 합궁바위는 예전에 탐방하였지만 도선사를 들머리로 한 코스는 처음이고, 족두리봉은 이번이 첫 탐방이다. 코스를 검색하여 찾아나섰고, 입술바위에서 족두리봉 암릉으로 오르려 하였지만 포기하고 다시 오른 곳이 코끼리바위였다. 알바로 힘들었지만 코끼리바위 정산에서 바라보는 조망은 일품이었다.
코끼리바위, 족두리봉 코스는 무난하였고, 족두리봉 조망 역시 뛰어났고, 족두리봉 유두바위는 입술바위 버금가는 사실저 모습이었다. 족도리봉, 하루재, 영봉은 무난한 코스로 영봉을 넘어 두번째 목책 끝에서 우측으로 넘어서면 합궁바위 가는 길이다.
능선길에서 암릉으로 오르면 합궁바위가 위치한 곳이다. 합궁바위는 무심코 지나치기 쉬우니 필히 암릉 주변을 살펴보아야 한다. 이로서 김상궁의 은밀한 사생활탐방을 마무리하였다.
▼우이동에서 바라본 북한산..
▼도선사
▼용암문공원지킴터
▼바위 뒤편에 김상궁바위가 위치..
■ 김상궁바위
위에 구멍이 있는데 이곳이 "사리함"이라하며 그 아래에 金尙宮淨光花之舍利塔 同治癸酉十月日立(김상궁 정광화지 사리탑 동치계유시월일립)이라고 쓰여있는데 "淨光花"는 김상궁의 佛法名이라하며 "맑고 빛나는 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평생을 宮에서 결혼도 못한 金尙宮에게 淨光花라는 法名을 준 것은 김상궁 품격이 예사롭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고, 현대 과학으로도 잘 설명되지 않는 舍利(사리)는 주로 남성들의 성생활을 극단적으로 자제하여 발생되는 일종의 '담석' 같은 것이라 합니다..?
그래서 여성에게는 생길수 없다 하는데 "사리"가 나올 정도였으니 당시에는 획기적 사건이었기에 "舍利塔"을 만들었겠지요.. ?
同治癸酉十月日立의 同治는 중국 靑나라 연호이고 1862~1874 사이인데 조선에서는 철종 13년~고종 11년 경이라고 합니다.
癸酉十月日立의 癸酉는 60년에 한번 있는 해로서 1753, 1813, 1873, 1933년 입니다. 1862~1897년 사이로 계유년은 1873년 입니다. 김상국은 여성으로서 특이하게 사리를 남겼고, 김상궁 사리탑은 1873년 10월(고종 10년)에 세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김상궁사리탑 좌측 목책을 넘어 갈림길에서 우측 길로 내려서면..제단이 위치한 안부를 만나게 되고 제단 앞쪽 우측으로 진행한다.
▼낙화암장을 만나게 된다..
▼낙화암장 조금 못미쳐 우측으로 넓은 계곡(무당골)이 보이는데.. 그곳으로 바로 진행하면 입술바위를 만나게 된다..
▼낙화암장에서 입술바위로 가기 위해서는 암장 우측 능선으로 올라 내려서면 입술바위가 위치해있다..
▼입술바위(마릴린 먼로 입술..?)
▼족두리봉을 가기 위해서는 입술바위 우측으로 올라서면.. 기암을 만나게 되고..
▼기암 우측으로 오르게 되면.. 샘터를 만나게 된다..
▼이곳 샘터에서 이정표를 보고 족두리봉으로 오르니..?
▼좌측으로 기암이 보이는 좌측 능선으로 오른다..
▼오름길에 발견한 돌고래바위..
▼돌고래가 소 등위에 올라타 있음..? 정면에서 보면 소를 닮았다고 함..
▼등로에 위치해 있지 않아 당겨본 쥐바위..?
▼추락한 UFO바위..? 이곳에서 암릉길로 오르려다가 위험해서 포기하고..
▼능선에서 내려서면 계곡으로서..
▼계곡을 따라 올라서게 되면..
▼족두리봉.. /우측으로 족두리봉이 보이는 것이 아닌가.. 족두리봉으로 오른다는 것이 코끼리바위로 오르고 있었던 것이다.
▼능선에서 내려서서 다시금 맞은편 능선으로 올라서면 이곳에 이르고 우측이 코끼리바위 정상이다..
▼코끼리바위에서 바라본 족두리봉 방향.. /뒤로는 불암산과 수락산.. 족두리봉 아래 바위는 대머리바위, 우측 하단은 도선사..
▼오봉과 도봉산(뒤)리고 영봉(중앙), 족두리봉(좌)..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불암산과 수락산을 배경으로..
▼코끼비바위 정상. 도봉산과 수락산 방향을 배경으로..
▼족두리봉을 올라서서 좌측으로 돌아내려서면..
▼족두리봉 신랑바위 하단 안부에 이르게 된다..
▼신랑바위
▼신부바위
▼유두바위(찌찌바위, 젖꼭지바위)
▼백운대와 인수봉..
▼만경대
▼족두리봉에서 바라본 코끼리바위와 마징가바위
▼만경대와 코끼리바위를 배경으로..
▼북한산 주능선..
▼대머리바위(족두리봉 아래에 위치)..
▼도봉산과 영봉을 배경으로..
▼뒤로부터.. 오봉과 도봉산, 상장능선(중앙), 영봉.. 상장능선 우측 끝봉이 왕관봉(중앙)
▼당겨본 오봉과 도봉산 그리고 상장능선 왕관봉(하단 중앙)..
▼백운대와 인수봉..
▼백운산장으로 내려선다..
▼하루재 하산길에 바라본 인수봉..
▼하루재에서 영봉으로 올라선다..
▼영봉에서 바라본 인수봉과 만경대.
▼영봉에서 바라본 도봉산과 수락산 방향.. 우측 하단은 코끼리바위..
▼당겨본 오봉과 도봉산 그리고 왕관바위..
▼이곳에서 우측으로 내려서면 합궁바위 가는 길..
▼당겨본 코끼리바위..
▼합궁바위 상단에서 북한산을 배경으로..
▼만경대, 백운대, 인수봉..
▼좌측부터 만경대, 백운대, 인수봉, 영봉..
▼애기집바위(자궁바위)
▼합궁바위 상단 기암..
▼합궁바위..
▼합궁바위 옆에 위치한 기암..
▼하산길의 기암.. 우천시 비피하기에 덧없이 좋은 공간이다..
▼날머리 - 할렐루야 기도원..
'북한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산 기암탐방 및 곰바위능선과 만경대.. (0) | 2018.07.10 |
---|---|
북한산 기암 탐방.. (0) | 2018.03.13 |
북한산 사자능선(보현봉)과 비봉능선, 향로봉까지.. (0) | 2017.07.17 |
북한산 노적봉 오아시스 미인길 (0) | 2016.05.29 |
북한산 노적봉 소나무길과 만경대 지존길 릿지 (0) | 2016.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