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결에 흐르듯
관악산 장군봉능선과 자하능선(케이블능선) 본문
■ 2024. 02. 09
■ 관악산 장군봉능선과 자하능선(케이블능선)
■ 정부과천청사역》화학융합시험연구원》장군봉능선》자하능선(케이블능선)》과천시청》정부과천청사역
■ 산행거리 : 8.61km
■ 산행시간 : 5시간 52분
■ 서울 한강 남쪽에 이르러 솟구친 산으로 동봉에 관악, 서봉에 삼성산, 북봉에 장군봉과 호암산을 아우르고 있고, 개성 송악산, 가평 화악산, 파주 감악산, 포천 운악산과 함께 경기도 오악의 하나인 관악산은 원래 화산(火山)이라 하여 조선 태조가 도읍을 한양으로 정할 때 화기(火氣)를 끄기 위해 경복궁 앞에 해태(海駝)를 만들어 세우고, 관악산의 중턱에 물동이를 묻었다고 한다.
그 꼭대기가 마치 큰 바위기둥을 세워 놓은 모습으로 보여 ‘갓 모습의 산’이란 뜻의 ‘갓뫼(간뫼)’ 또는 ‘관악(冠岳)’이라고 했다.
관악산 이름은 그 형상이 마치 관처럼 생겼기 때문이라고 하며 원효와 의상 등 고승들이 일막(一幕), 이막(二幕), 삼막(三幕) 등의 암자를 짓고, 수도한 곳으로 현재는 삼막사(三幕寺)만 남아있다.
■ 8일 미답지 6-3능선과 관양능선 산행으로 관악산 능선 중
용마북능선을 제외한 대부분 정규 능선을 둘러보게 되었다.
이제는 오랫동안 잊고 지냈던 능선을 두루 둘러볼 생각이었지만
2월 4일 장군봉능선 초등산행은 정보 부족으로
화살촉바위를 보지 못하고 위치정도 확인할 수 있었기에
오늘 산행은 장군봉 좌우능선과 화살촉바위를 둘러볼 생각이었다.
하지만 화살촉바위 위치를 잘못 판단함으로서 잠시 알바했지만..
화살촉바위를 비롯 기타 암릉도 둘러볼 수 있었다.
특히 장군봉 좌,우능선과 지능선 성격을 알게 되었다.
하산길은 오래간만에 자하능선 풀코스로 내려섰다.
▼개념도
▼트레킹도
▼산행 들머리
▼육봉 방향..
▼육봉능선 분기점(좌), 우측은 문원폭포 방향으로 문원폭포에서도 육봉능선을 오르곤 한다.
▼마당바위 - 문원폭포/육봉능선, 장군봉능선, 미소능선, 자운암(자하능선) 분기점이다.
▼문원폭포, 육봉능선 분기점이다
▼장군봉 능선에서 바라본 육봉능선, 앞 능선은 미소능선..
▼뒤로부터 육봉능선, 미소능선, 장군봉 좌측능선 암릉
▼장군봉 좌측능선
▼장군봉 좌/우능선 - 장군봉 능선은 문원폭포를 기점으로 좌우로 능선이 분기되어 이처럼 장군봉 가까이서 합류된다.
▼장군봉능선에서 바라본 자하능선(케이블능선) 방향..
▼장군봉 우측능선에서 좌측으로 벗어나 오르다가 발견한 기암..
▼당겨본 기암..
▼기암
▼육봉능선, 미소능선, 장군봉 좌능선
▼장군봉 좌능선
▼장군봉 우능선에서 바라본 좌능선과의 합류점 봉우리..
▼장군봉 좌/우 능선 합류 봉우리.. 우측은 자하능선(케이블능선)
▼장군봉 우능선 암릉과 자하능선(우).. 중간 암릉은 자하능선 분기점으로 이어지는 지능선 암릉..
▼육봉능선 방향..
▼불꽃바위(햇불바위) 방향.. 하단 기암 암릉은 장군봉으로 이어지는 지능선이다.
▼당겨본 기암, 뒷 모습은 복주머니를 닮은 듯..
▼기암 뒷 모습..
▼화살촉바위로 내려가는 분기점이고 장군봉 좌우능선 합류점이다.
▼화살촉 바위를 찾아 내려가면서 발견한 기암..
▼화살촉바위
▼남근석바위라고도 한다.
▼화살촉바위에서 바라본 불꽃바위 방향, 전면 암릉은 기암(복주머니)에서 시작되는 또다른 지능선 암릉이다
▼불꽃바위(햇불바위)
▼미소능선 하단에 위치한 기암으로 어느 산객이 말하길 남근석이라고 한다.
▼화살촉바위에서 바라본 장군봉 우능선
▼화살촉바위에서 기암(복주머니) 지능선 암릉으로 가기 위해 화살촉바위 우측으로 내려섰다
▼기암(복주머니) 방향 암릉으로 오르며 보인 기암..
▼지능선 암릉으로 올라 바라본 기암(복주머니를 닮은 듯)
▼또 다른 기암..
▼지능선 암릉을 오르며 바라본 화살촉바위..
▼지능선 암릉 종착점 바위로 돌아 올라서면..
▼장군봉 능선의 기암과 만나게 된다
▼자하능선 앞에 위치한 또 다른 암릉으로 다음에는 저곳으로 올라봐야겠다.
▼우측 하단 암릉니 자하능선(케이블능선)이다
▼화살촉바위 방향으로 올라온 길이다
▼장군바위 방향..
▼당겨본 장군바위, 바위위에 사람이 올라선 듯 하여.. 당겨보니 누군가 돌탑으로 올려놓은 것이었다.
▼장군봉에서 연주암 방향의 기암..
▼뒷모습..
▼장군바위 방향..
▼ 자하능선(케이블능선)
▼헬기장 - 자하능선(케이블능선) 분기점..
▼관악산과 사당능선 방향..
▼사당능선(뒤)과 자하능선..
▼자하능선
▼자하능선 암릉..
▼관악산(연주대)와 연주암..
▼관악산(연주대)
▼연주암
▼자하능선 암릉 기암..
▼하산길 자하능선..
▼돌아보고..
▼관악산과 사당능선..
▼두꺼비바위
▼두꺼비바위 뒷모습..
▼새바위 방향.. 이어지는 자하능선..
▼기암..
▼돌아보고..
▼진행방향 암릉과 새바위..
▼새바위와 하산길 자하능선..
▼돌아보고..
▼새바위 뒷모습..
▼새바위..
▼하산길..
▼기암..
▼돌아보고..
▼과천 향교 분기점 - 좌우 갈림길 모두 과천향교 방향인데, 우측은 과천시청/정부과천청사역으로도 내려설 수 있다
▼과천 향교 분기점 앞에 위치한 전위봉..
▼전위봉에서 바라본 육봉능선 방향..
▼자하능선(케이블능선)
▼우측은 새바위..
▼마당바위/정부과천청사역 갈림길 - 좌측으로 진행..
▼안릉부원군 강득룡 묘
▼과천시청 어린이집을 끼고 돌아 내려서면 정부과천청사역 10번 출구이다
▼과천시청..
'관악산 삼성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산과 관악산(돌산, 삼성산, 장군봉, 학바위능선, 버섯바위능선..) (0) | 2024.03.03 |
---|---|
관악산 파이프능선과 헬기장능선(가칭) (0) | 2024.02.13 |
관악산 6-3능선과 관양능선 (0) | 2024.02.09 |
관악산 장군봉능선과 버섯바위 능선.. (0) | 2024.02.05 |
관악산 백운사/육봉/오봉능선 (2) | 2024.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