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황매산 철쭉과 장군봉, 상봉, 삼봉 환종주..
■ 2022. 05. 04
■ 합천 황매산 철쭉과 장군봉, 상봉, 삼봉 환종주..
■ 매표소》법연사》박덤》장군봉》탑봉(치마덤/할미산성)》중봉》상봉》삼봉》황매산》산불 감시초소》모산재》득도바위》순결바위》
국사당》덕만주차장
■ 트레킹 거리 : 12.7km
■ 트레킹 시간 : 4시간 41분
■ 4일 전(4월 30일) 탐방하였을 때는 황매산 정상 철쭉은 대략 30% 정도 개화되어 아쉬운 마음이었고, 미답지 장군봉과 중봉 능선이 유혹한다. 오늘 날씨가 좋으니 그 유혹을 떨구지 못하고, 아침 일찍 버스에 몸을 실었다. 공지 들머리는 산청 떡갈재였으나 홀로 장군봉 들머리인 만주차장으로 향하였지만 정체로 주차장 1.3km 전에 내려 매표소, 법연사로 올랐다.
법연사에서 장군봉 등로는 찾을 수 없었고, 삼성각 옆으로 파이프 라인이 보인다. 장군봉 정규등로와 이어질 것이라는 생각에 무작정 파이프라인을 따라 진행하니 예상대로 정규등로와 만나는 것이었다. 이후 박덤 암릉길이 잠시 이어지지만 장군봉, 돌탑봉(할미산성,치마덤), 중봉, 상봉까지는 육산으로 완만한 등로로 어렵지않게 상봉까지 진행할 수 있다.
삼봉에서 위험한 암릉구간이 있지만 로프가 설치되어 있었고, 황매산까지 무난히 진행할 수 있다. 박덤 암릉과 돌탑봉, 상봉에서 바라보는 황매산 철쭉군락지 붉은 모습은 산객의 마음을 들뜨게 하기에 충분했고, 특히 상봉에서 바라보는 합천호 풍경은 일품이었다.
황매산 정상에서 바라보는 철쭉군락지 모습은 4일전과 다를바 없었으나 그동안 철쭉이 좀 더 개화되면서 색감이 더욱 짙고, 화사하게 다가왔다. 황매산 아래 철쭉군락지와 제1철쭉군락지 만개시기가 조금 차이가 있는만큼 황매산 정상 철쭉이 7~80% 정도 개화된 지금이 절정시기가 아닌가 싶다. 베틀봉을 지나 제1 철쭉군락지는 만개된 모습으로 절정의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지만 4일전 탐방 때만큼 신선한 감흥으로 다가오지는 않았다.
평일은 주말에 비해 탐방객이 적어서인지 감흥이 일지않으니 역시 산객의 탄성소리가 들리는 조금은 혼잡스러운 것도 유쾌한 즐김이 아닌가 싶다. 덕만주차장 갈림길에서 하산할까 하였지만 지난 산행에서 지나친 순결바위를 보기 위해 순결바위 능선으로 오른다..
오늘은 철쭉보다 미답지 장군봉과 중봉 코스가 목적이었는데, 상봉에서 합천호 조망 외에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황매산을 가장 쉽게 오를 수 있는 들머리는 떡갈재도 덕만주차장도 아닌 미리내파크였다. 미리내파크를 들머리로 하여 철쭉군락지로 해서 황매산으로 올라 철쭉군락지를 조망한 후, 베틀봉 산불감시초소로 내려서며 억새밭 철쭉을 즐기면 되겠다.
산불감시초소에서 바라보는 제1철쭉군락지는 황매산 최고의 멋진 철쭉군락지 풍경이다. 제1철쭉군락지 탐방을 마치고 덕만주차장과 모산재 주차장으로 하산할 수 있는데 암릉 산행을 즐긴다면 모산재에서 순결바위능선과 돛대바위 능선 중 원하는 곳으로 하산할 수 있다. 순결바위능선 날머리는 덕만주차장과 모산재 주차장 두 곳 가능하고, 돛대바위 능선은 모산재주차장이 날머리이다.
들머리 미리내파크 코스는 황매산 인증과 철쭉군락지를 가장 쉽게 즐길 수 있기에 산행보다는 철쭉을 위한 코스로 좋을 듯 싶다.
▼개념도
▼트레킹도
▼많은 탐방객 차량으로 덕만주차장 진입이 정체되어 1.3km 지점에서 미리 하차 걸어가는 길에 바라본 황매산 모산재 방향..
▼매표소에서 바로 법연사로 오르며 바라본 박덤 - 법연사는 박덤 아래에 위치해 있다.
▼법연사 안내석
▼법연사 입구 마애여래상
▼법연사(뒤 암봉은 박덤)
▼삼성각 - 삼성각 옆 능선으로 파이프라인이 보였다. 파이프라인을 따라 가면 정규등로와 만나게 된다.
▼예상대로 정규등로와 만나게 되고.. 이후로 무난한 등로가 이어진다.
▼박덤 좌측 암릉 오름길에 바라본 황매산 철쭉군락지..
▼황매산(좌)에서 장군봉(우)에 이르는 능선.. 중앙은 상봉이다.
▼상봉(좌)과 장군봉(우)..
▼모산재와 암릉..
▼박덤 - 불당골 갈림길, 불당골은 지도에서 검색할 수 없었는데.. 황매산 만남의광장, 두심마을에서의 오름길이 아닌가 싶다.
▼연꽃설.. 안내판은 있지만 주변에 뭔가 인지할만한 것을 보지는 못하였다.
▼장군봉 정상 - 장군봉은 정상석도 안내표지판도 없었고, 정상이라기 보다는 등로로 착각할만큼 이정표만이 있었다
▼장군봉에서 바라본 진행방향 - 좌측부터 황매산, 삼봉, 상봉, 중봉, 탑봉(치마덤)이다.
▼황매산 철쭉군락지
▼좌측부터 철쭉군락지, 황매산, 삼봉, 상봉..
▼대병 4악 악견산(좌), 금성산, 허굴산(우) 방향, 의룡산은 악견산과 금성산 사이 뒤..
▼할미산성과 치마덤 - 좌측은 상봉과 중봉..
▼황매산, 덕만주차장, 보림사 갈림길.. 보림사는 하봉방향으로 대병4악 금성산과 연결되는 루트이다.
▼상봉(좌)과 중봉(우)..
▼지나온 능선을 돌아보고..
▼상봉 오름길에 돌아본 중봉 - 중봉도 정상석이나 안내판이 없었다.
▼상봉 정상 - 오토캠핑장 갈림길, 역시 정상석은 없었고 이정표가 정상임을 알려주고 있다.
▼상봉 전망대
▼상봉에서 바라본 합천호..
▼전망대에서 바라본 덕만주차장과 모산재 방향..
▼모산재(좌)와 철쭉군락지..
▼철쭉군락지와 황매산(우)..
▼좌측부터 황매산 전망대 봉우리, 황매산, 삼봉, 무명봉..
▼돌아본 상봉..
▼감암산 방향 철쭉군락지..
▼황매 삼봉 중 첫번째 봉우리 - 좌측으로 우회..
▼2번째 봉우리..
▼2번째 봉우리에 올라 바라본 황매산..
▼돌아본 첫번째 봉우리와 상봉(우)..
▼삼봉에서 바라본 철쭉군락지..
▼2번째 봉우리를 내려서며.. 굴을 통과해도 되고 좌측으로 내려서도 된다.
▼황매산을 오르며 바라본 삼봉과 상봉.. 중앙은 무명봉이다..
▼황매산에서 바라본 지나온 마루금..
▼ 산청 떡갈재 갈림길에서 바라본 황매산 정상..
▼황매산 구정상석..
▼황매산 정상에서 바라본 삼봉(좌)과 상봉(우)..
▼돌아본 떡갈재 갈림길 안부.. 떡갈재는 능선 좌측, 삼봉은 우측이다..
▼정상에서의 철쭉군락지 방향..
▼돌아본 황매산 정상..
▼황매산 전망대 봉우리..
▼모산재 방향..
▼전망대 봉우리에서 바라본 황매산, 삼봉, 상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모산재 방향 철쭉군락지
▼당겨본 철쭉군락지
▼베틀봉(중앙)과 미리내파크 방향 철쭉군락지, 미리내파크는 철쭉군랒지 우측에 위치해 있다.
▼당겨보고.. 황매산성 뒤 도로가 미리내파크로 연결되는 탐방로로서 철쭉군락지를 가장빠르고 쉽게 오를 수 있는 코스이다.
▼전망대를 내려서서 데크길에서 바라본 베틀봉 방향..
▼제1철쭉군락지 방향..
▼돌아본 황매산..
▼황매산과 상봉(우)..
▼베틀봉과 황매산성..
▼덕만주차장 갈림길 - 좌측 산객이 오르고 있는 길.. 우측은 베틀봉이다
▼베틀봉
▼베틀봉 오름길에 바라본 황매산 방향..
▼제1철쭉군락지(좌)와 산불감시초소(우)..
▼제1철쭉군락지와 모산재..
▼감암산..
▼제1철쭉군락지..
▼황매산과 상봉 방향.. 하단은 오토캠핑 주차장..
▼베틀봉 방향..
▼당겨보고..
▼모산재 방향..
▼이어지는 철쭉군락지..
▼탑봉(좌, 할미산성과 치마덤), 박덤과 법연사
▼모산재와 암릉으로 내려선다..
▼모산재 직전 덕만주차장 갈림길..
▼모산재
▼모산재에서 바라본 돛대바위 암릉..
▼대기저수지..
▼모산재에서 암릉으로 내려선다
▼박덤과 법연사 방향..
▼진행방향 모산재 암릉..
▼득도바위가 위치한 암릉..
▼득도바위 - 산객이 모여있는 곳..
▼신라 말 문신이자 유학자인 고운 최치원이 수도하였다는 득도바위
▼돌아본 모산재와 암릉..
▼득도바위(좌)와 암릉을 내려서는 산우님들.. 이곳을 내려서면 덕만주차장(좌), 영암사지(순결바위) 갈림길 이정표가 있다.
▼영암사지 방향으로 진행..
▼영암사지 방향 암릉에서 바라본 모산재와 모산재 암릉 - 좌측 암릉은 돛대바위 암릉이다..
▼순결바위가 위치한 암릉.. 순결바위는 암릉 끝에 위치해 있다.
▼순결바위 뒷모습..
▼순결바위 - 평소 생활이 깨끗하지 못한 사람이 이 바위 틈에 들어가면 빠져나오지 못한다는 말이 전해진다.
▼박덤과 장군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국사당
▼영암사지(우), 덕만주차장(좌) 갈림길 - 좌측에 이정표가 있다.
▼임도로 내려서서 바라본 박덤 방향 - 좌측 숲속으로 붉은 색이 보이는 곳이 날머리 덕만주차장이다.